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84

[CS] 클럭과 코어, 스레드 1️⃣ 클럭 클럭(clock)이란 CPU의 속도를 나타내는 단위이다. 클럭은 1초 동안 파장이 한 번 움직이는 시간을 의미하는데, 이 시간 동안 처리하는 데이터 양에 따라 CPU의 속도가 달라지게 된다. 앞선 명령어 사이클 글에서 1) 컴퓨터 부품들은 '클럭 신호'에 맞춰 일사불란하게 움직인다. 2) CPU는 '명령어 사이클'이라는 정해진 흐름에 맞춰 명령어들을 실행한다고 정리했다. 클럭 신호가 빠르게 반복되면 CPU를 비롯한 컴퓨터 부품들은 그만큼 빠른 박자에 맞춰 움직인다. 클럭 속도가 높아지면 CPU는 명령어 사이클을 더 빠르게 반복할 것이고, 다른 부품들도 그에 발맞춰 더 빠르게 작동할 것이다. 실제로 클럭 속도가 높은 CPU는 일반적으로 성능이 좋다. 그래서 클럭 속도는 CPU 속도 단위로 간주.. 2023. 2. 14.
[CS] 하드웨어 인터럽트 이전 글 - https://seonggu.tistory.com/19 위 글에서 비동기 인터럽트에 대해 간략하게 작성을 했었다. 저번 글에서 언급했듯 비동기 인터럽트는 하드웨어 인터럽트라고도 부를 수 있다. 이번 글은 하드웨어 인터럽트에 관한 설명을 추가하고 처리 순서에 대해 작성할 예정이다. 1️⃣ 하드웨어 인터럽트 하드웨어 인터럽트는 알림과 같은 인터럽트이다. CPU는 입출력 작업 도중에도 효율적으로 명령어를 처리하기 위해 이런 알림과 같은 하드웨어 인터럽트를 사용한다. 명령어를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것과 하드웨어 인터럽트가 무슨 상관이 있는지 알아보자. 예를 들면 CPU가 프린터에 출력을 명령한 상황이다. 입출력장치는 CPU보다 속도가 현저히 느리기 때문에 CPU는 입출력 작업의 결과를 바로 받아볼 수.. 2023. 2. 9.
[삼각지역] 키보 키보 - 서울 용산구 한강대로50길 17 한 두달전인가? 오사사 채널에서 키보에 다녀간 것을 보았는데 영상을 보고 꼭 한번 시간 나면 하이볼 한잔 먹으러 가고 싶었었다. 마침 주말에 학교 후배한테 빌려준 모자를 받으려고 잠깐 대방역에 갔다가 배가 고파서 지하철을 타고 키보에 가보았다. 원래 타치노미가 직장인들이 퇴근하고 간단하게 한잔 하는 문화에서 온 것이라고 본 것 같은데 키보는 너무 유명해져서 멀리서 찾아오거나 데이트하는 사람들이 간단하게 한잔하러도 오는 것 같다. 수많은 후기에도 적혀있듯 웨이팅을 피할 수가 없었으나 타치노미 특성상 회전율이 높아서 순번에 비해서는? 금방 자리로 안내받은 것 같다. (자리가 비워져도 바로 치우시지는 않는다. 바쁜 것도 있고 우리끼리 예상으로는 한잔하다 밖에 잠시 담배.. 2023. 2. 7.
[CS] 명령어 사이클과 인터럽트 ✅ CPU가 하나의 명령어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어떤 정해진 흐름이 있고, CPU는 그 흐름을 반복하며 명령어들을 처리해 나간다. 하나의 명령어를 처리하는 정형화된 흐름을 명령어 사이클이라고 한다, CPU는 정해진 흐름에 따라 명령어를 처리해 나가지만, 간혹 이 흐름이 끊어지는 상황이 발생하는데 이를 인터럽트라고 한다. 1️⃣ 명령어 사이클 프로그램은 수많은 명령어로 이루어져 있고, CPU는 이 명령어 들을 하나씩 실행한다. 이때 프로그램 속 각각의 명령어들은 일정한 주기가 반복되어 실행되는데, 이 주기를 명령어 사이클(instruction cycle)이라고 한다. 프로그램 속 각각의 명령어들은 명령어 사이클이 반복되며 실행된다.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하나 실행한다고 가정할 때, 명령어를 메모리에서 C.. 2023. 2.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