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3 Dmidecode Linux에서 Dmidecode 명령으로 하드웨어 정보를 얻어보자. 1) dmidecode란? dmidecode는 Linux 시스템에서 하드웨어 정보를 가져오는 데 사용되는 명령줄 유틸리티이다. 시스템의 BIOS에서 하드웨어 정보를 읽어와서 표시한다. 다양한 하드웨어 구성 요소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으며, 메인보드, BIOS, CPU, 메모리 등에 대한 세부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dmidecode명령을 사용하면 시스템 업그레이드를 진행해야할 때 즉각적으로 정보를 얻을 수 있고 이러함은 시스템의 섀시를 열지 않고 마더보드의 모델 시리얼같은 정보도 알 수 있고 BIOS에서 확인가능한 정보도 OS에서 확인할 수 있게 해준다. 2) 설치 대부분의 linux 배포판에서는 기본적으로 설치가 되어 있.. 2024. 1. 22. 네트워크 관련 명령어 네트워크 관련 명령어 ping : 외부 호스트에 신호를 보내며 신호를 받은 호스트는 응답을 주면서 서로 네트워크가 연결되어 있음을 확인시켜주는 명령어 ping [옵션] [ip 혹은 도메인 주소] -c [요청 수] : ping을 보낼 횟수로 생략될 경우 무제한으로 실행 -i [초] : 신호를 보내는 시간 간격으로 생략될 경우 1초단위로 설정 -s [패킷 크기] : 전송하는 패킷 크기를 바이트(byte) 단위로 설정 traceroute : 목적지 호스트까지의 경로를 표시하고 그 구간의 정보를 기록하는 명령어이다. 목적지 호스트까지의 패킷 전송 지역을 측정하거나 목적지 호스트로 향하는 경로상에 어떤 장애가 있는 경우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traceroute [도메인명 혹은 ip주소] nslookup : 도.. 2023. 10. 25. 텍스트 파일 관리 텍스트 파일 관리 텍스트 cat : 파일의 내용을 출력하는 명령어 cat [옵션] [파일] -n : 각 문장 앞에 번호 표시, 비어있는 행 포함 -b : 각 문장 앞에 번호 표시, 비어있는 행 제외 -s : 연속되는 2개 이상의 빈 행을 한 행으로 출력 -A : 텍스트 파일에 존재하는 개행 문자나 탭 문자 등을 확인 head : 파일의 앞부분을 지정한 만큼 출력하는 명령어 head [옵션] [파일명] -c : 출력을 원하는 용량 지정 -숫자 또는 -n 숫자 : 출력을 원하는 줄 수 지정 tail : 파일의 마지막 행을 기준으로 지정한 행까지 파일 내용 일부를 출력하는 명령어 -c : 출력을 원하는 용량 지정 -숫자 또는 -n 숫자 : 출력을 원하는 줄 수 지정 -f : 지정된 파일에 새롭게 추되는 파일내.. 2023. 10. 25.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