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84 [CS] 레지스터 레지스터 종류와 역할, 각 레지스터를 통해 명령어가 처리되는 과정 알아보기. CPU 안에는 많은 레지스터가 존재하고 각자 다른 역할을 하고 있다. 1️⃣ 프로그램 카운터 프로그램 카운터(PC; Program Counter)는 메모리에서 가져올 명령어의 주소 메모리에서 읽어 들일 명령어의 주소를 저장한다. 프로그램 카운터를 명령어 포인터(IP; Instructiong Pointer)라고 부르는 CPU도 있다. 2️⃣ 명령어 레지스터 명령어 레지스터(IR; Instruction Register)는 해석할 명령어 방금 메모리에서 읽어 들인 명령어를 저장하는 레지스터이다. 제어장치는 명령어 레지스터 속 명령어를 받아들이고 이를 해석한 뒤 제어신호를 내보낸다. 3️⃣ 메모리 주소 레지스터 메모리 주소 레지스터(M.. 2023. 2. 2. [CS] ALU와 제어장치 CPU의 구성 요소 중 ALU와 제어장치, ALU와 제어장치가 어떤 정보를 내보내고 받아들이는지 알아보자. 1️⃣ ALU ALU는 계산하는 부품이다. 1+2라는 계산을 할 때 1과 2라는 피연산자와 더하기라는 수행할 연산이 필요하듯이 ALU가 계산하기 위해서는 피연산자와 수행할 연산이 필요하다. 그래서 ALU는 레지스터를 통해 피연산자를 받아드리고, 제어장치로부터 수행할 연산을 알려주는 제어 신호를 받아들인다. ALU는 레지스터와 제어장치로부터 받아들인 피연산자와 제어 신호로 산술 연산, 논리 연산 등 다양한 연산을 수행한다. 내보내는 정보들은 알아보면, 연산을 수행한 결과는 특정 숫자나 문자가 될 수도 있고, 메모리 주소가 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 결괏값은 바로 메모리에 저장되지 않고 일시적으로 레지.. 2023. 1. 31. [CS] 다양한 주소 지정 방식 지난 포스팅에 이어서 여러 가지 주소 지정 방식에 대해 알아보자. ✅ 주소 지정 방식 주소 지정 방식은 주 기억장치에 데이터가 저장된 위치(=주소)를 피연산자 필드(=오퍼랜드 필드)를 사용하여 제공한다. 담을 수 있는 비트 수에 제한이 있기 때문에 효과적으로 명령어를 처리할 수 있는 다양한 주소 지정 방식이 사용된다. 유효 주소 : 연산의 대상이 되는 데이터가 저장된 위치 1️⃣ 즉시 주소 지정 방식 즉시 주소 지정 방식immediate addressing mode은 연산에 사용할 데이터를 오퍼랜드 필드에 직접 명시하는 방식이다. 가장 간단한 형태의 주소 지정 방식이다. 이런 방식은 표현할 수 있는 데이터의 크기가 작아지는 단점이 있지만, 연산에 사용할 데이터를 메모리나 레지스터로부터 찾는 과정이 없기 .. 2023. 1. 19. [CS] 명령어의 구조 명령어의 구조와 주소 지정 방식을 학습하며 명령어의 생김새와 작동 원리를 알아보자❗ 1️⃣ 연산 코드와 오퍼랜드 컴퓨터 속 명령어는 '무엇을 대상으로, 어떤 동작을 수행하라'는 구조로 되어 있다. 아래의 그림을 보면 색 배경 필드는 명령어의 '작동', 달리 말해 '연산'을 담고 있고 흰색 배경 필드는 '연산에 사용할 데이터' 또는 '연산에 사용할 데이터가 저장된 위치'를 담고 있다. 명령어는 연산 코드와 오퍼랜드로 구성되어 있다. 색 배경 필드 값, 즉 '명령어가 수행할 연산'을 연산 코드operation code라 하고, 흰색 배경 필드 값, 즉 '연산에 사용될 데이터' 또는 '연산에 사용할 데이터가 저장된 위치'를 오퍼랜드operand라고 한다. 연산 코드는 연산자, 오퍼랜드는 피연산자라고도 부르기도.. 2023. 1. 17. 이전 1 ··· 15 16 17 18 19 20 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