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84

[Java] 배열과 배열의 복사 1️⃣ 배열(array) 같은 타입의 여러 변수를 하나의 묶음으로 다루는 것. 많은 양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서, 그 데이터의 숫자만큼 변수를 선언해야 한다면 엄청 번거로워진다. 해서 배열을 사용하면 많은 양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쉽게 사용할 수 있다. 선언방법 예시 타입[] 변수이름; int[] num; String[] name; 타입 변수이름[]; int num[]; String name[]; 위와 같이 배열을 선언할 수 있는데 변수 또는 타입에 배열을 의미하는 대괄호[]를 붙이면 된다. 하지만 대부분 타입 쪽에 붙이는 방법을 선호한다(예 : int[]) 타입[] 변수이름; 변수이름 = new 타입[]; int[] num; // 1 num = new int[3]; // 2 int[] num = new.. 2022. 12. 22.
[Java] 자주 발생하는 기본적인 에러와 해결 1️⃣ cannot find symbol 또는 cannot resolve symbol 지정된 변수나 메서드를 찾을 수 없다는 뜻. 선언되지 않은 변수나 메서드를 사용하거나, 변수 또는 메서드의 이름을 잘못 사용한 경우에 발생한다. ✅ 자바에서는 대소문자 구분을 하기 때문에 철자뿐만 아니라 대소문자의 일치 여부도 꼼꼼하게 확인해야 함. 2️⃣ ';' expected 세미콜론';'이 필요한 곳에 없다는 뜻. ✅ 자바의 모든 문장의 끝에는 ';'을 붙여주어야 하는데 가끔 이를 잊고 실수하기 쉽다. 3️⃣ Exception in thread "main" java.lang.NoSuchMethodError: main 'main 메서드를 찾을 수 없다.'라는 뜻. 실제로 클래스 내에 main 메서드가 존재하지 않거나.. 2022. 12. 20.
[Java] 기본형(Primitive type) - 논리, 문자형 1️⃣ 논리형 - boolean 논리형에는 boolean 만 존재한다. boolean형 변수에는 true와 false 중 하나를 저장할 수 있으며 기본값(default)은 false이다. boolean형 변수는 yes/no, on/off 등 논리구현에 주로 사용이 된다. 그리고 두 가지 값만 표현이 되므로 1 bit만으로도 충분하지만, 자바에서는 데이터를 다루는 최소의 단위가 byte이기 때문에, 자바에서는 1byte이다. 💥 자바에서는 대소문자를 구별하기 때문에 TRUE와 true는 다른것으로 간주된다. boolean power = true; boolean checked = False; //error 2️⃣ 문자형 - char 문자형도 char 만 존재한다. 문자를 저장하기 위한 변수를 선언할 때 사용.. 2022. 12. 15.
[Java] 변수의 명명규칙과 네이밍컨벤션 1️⃣ 변수의 명명규칙 '변수의 이름'처럼 프로그래밍에서 사용하는 모든 이름을 '식별자(identifier)'라고 하며, 식별자는 같은 영역 내에서 서로 구분(식별) 할 수 있어야한다. 그리고 식별자를 만들 때는 아래와 같은 규칙을 지켜야 한다고 한다. 1. 대소문자가 구분되며 길이에 제한이 없다. - True와 true는 서로 다른 것으로 간주된다. 2. 예약어를 사용해서는 안된다. - true는 예약어라서 사용할 수 없지만, True는 가능하다. 3. 숫자로 시작해서는 안된다. - top10은 허용하지만, 7up은 허용되지 않는다. 4. 특수문자는 '_'와 '$'만을 허용한다. - $harp은 허용되지만, S#arp은 허용되지 않는다. 여기서 3번 예약어는 키워드(keyword) 또는 '리져브드 워드.. 2022. 12. 13.
[Java] 논리 연산자와 그 외 연산자 1️⃣ 논리 연산자 논리 연산자 '&&'는 '그리고(AND)'에 해당하며, 두 피연산자가 모두 true일 때만 true를 결과로 얻는다. '||'는 '또는(OR)'에 해당하며, 두 피연산자 중 어느 한쪽만 true여도 true를 결과로 얻는다. 그리고 논리 연산자는 피연산자로 boolean형 또는 boolean형 값을 결과로 하는 조건식만을 허용한다. 💥 '|'는 한글 키보드에서 Enter키 위에 shift를 누른 상태에서 누르면 사용할 수 있다. 논리 연산자의 피연산자가 '참(true)인 경우'와 '거짓(false)인 경우'의 연산결과를 표로 나타내면, x y x||y x&&y true true true true true false true false false true true false false .. 2022. 12. 8.
[Java] 연산자(operator) 정리 1. 연산자란❓ '연산을 수행하는 기호'를 뜻한다. 예를 들어 '+'기호는 덧셈 연산을 수행하며, '덧셈 연산자'라고 한다. 자바에서는 사칙연산(+, -, *, /)을 비롯하여 다양한 연산자들을 제공한다. 1️⃣ 연산자와 피연산자 연산자가 연산을 수행하려면 반드시 연산의 대상이 있어야 하는데, 이것을 '피연산자(operand)'라고 한다.피연산자로 상수, 변수 또는 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연산자 : 연산을 수행하는 기호 (+, -, *, / 등) 피연산자 : 연산자의 작업 대상 (변수, 상수, 리터럴, 수식) 예를 들어 'x + 2' 라는 수식이 있다면 연산자는 '+' 피연산자는 각각 'x'와 '2'에 해당한다. 2️⃣ 식과 대입연산자 연산자와 피연산자를 조합하여 계산하고자 하는 바를 표현한 것을 '.. 2022. 12.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