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객체지향언어
기존의 프로그래밍언어와 다른 새로운 것이 아닌, 기존의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몇 가지 새로운 규칙을 추가한 보다 발전된 형태.
규칙들을 이용해서 코드 간에 서로 관계를 맺어 줌으로써 보다 유기적으로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기존의 프로그래밍 언어에 익숙하다면 자바의 객체지향적인 부분만 새로 배우면 된다. 다만 절차적 언어에 익숙한 프로그래밍 습관을 객체적으로 바꾸도록 노력해야 한다. 아래는 객체지향 언어의 주요 특징이다.
1. 코드의 재사용성이 높다.
새로운 코드를 작성할 때 기존의 코드를 이용하여 쉽게 작성할 수 있다.
2. 코드의 관리가 용이하다.
코드 간의 관계를 이용해서 적은 노력으로 쉽게 코드를 변경할 수 있다.
3. 신뢰성이 높은 프로그래밍을 가능하게 한다.
제어자와 메서드를 이용해서 데이터를 보호하고 올바른 값을 유지하도록 하며, 코드의 중복을 제거하여 코드의 불일치로 인한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객체지향언어의 가장 큰 장점은 '코드의 재사용성이 높고 유지보수가 용이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객체지향언어의 장점은 프로그램의 개발과 유지보수에 드는 시간과 비용을 획기적으로 개선했다.
상속과 다형성 같은 객체지향개념에 대해 학습할 때 재사용성과 유지보수 그리고 중복된 코드의 제거, 이 세 가지 관점에서 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객체지향은 좋은 특징들이 있지만 객체지향에 얽매여서 고민하기보다는 일단 프로그램을 기능적으로 완성하고 어떻게 하면 보다 객체지향적으로 코드를 개선할 수 있을지 고민하자.
2️⃣ 클래스와 객체
1) 클래스란 '객체를 정의해 놓은 것' 또는 '객체의 설계도 또는 틀'이라고 정의할 수 있음.
클래스의 정의 : 클래스란 객체를 정의해 놓은 것
클래스의 용도 : 클래스는 객체를 생성하는 데 사용된다.
클래스의 구조로는 두 영역으로 나뉘는데 상태를 정의하는 필드(fields)와 동작을 정의하는 메서드(methods)로 구성되어 있다.
고양이를 예시로 클래스를 설계하자면 다음과 같다.
✅ 아래와 같이 클래스를 도식화한 것을 클래스 다이어그램(class diagram)이라고 함.

그럼 위에서 클래스를 설계하였으니 아래와 같이 구현을 하면 된다.

2) 객체의 사전적인 정의는 '실제로 존재하는 것'이다.
우리가 주변에서 볼 수 있는 책상, 의자, 자동차와 같은 사물들이 곧 객체이다. 객체지향이론에서는 사물과 같은 유형적인 것뿐만 아니라, 개념이나 논리와 같은 무형적인 것들도 객체로 간주한다. 프로그래밍에서의 객체는 클래스에 정의된 내용대로 메모리에 생성된 것을 뜻함.
객체의 정의 : 실제로 존재하는 것. 사물 또는 개념
객체의 용도 : 객체가 가지고 있는 기능과 속성에 따라 다름
유형의 객체 : 책상, 의자, 자동차, TV와 같은 사물
무형의 객체 : 수학공식, 프로그맹 에러와 같은 논리나 개념
또한, 클래스는 단지 객체를 생성하는 데 사용될 뿐, 객체 그 자체는 아니다. 원하는 기능의 객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클래스로부터 객체를 생성하는 과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아래의 예시는 클래스와 객체의 예시이다.
✅ 객체를 사용한다는 것은 객체가 가지고 있는 속성과 기능을 사용한다는 뜻이다.

클래스를 정의하고 클래스를 통해 객체를 생성하는 이유는 설계도를 통해서 제품을 만드는 이유와 같다. 하나의 설계도만 잘 만들어 놓으면 제품을 만드는 일이 쉬워진다. 제품을 만들 때마다 매번 어려움 없이 설계도대로만 만들면 되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클래스를 한 번만 만들어 놓기만 하면, 매번 객체를 생성할 때마다 어떻게 객체를 만들어야 할지를 고민하지 않아도 된다. 그냥 클래스로부터 객체를 생성해서 사용하기만 하면 되는 것이다.
JDK(Java Development Kit)에서는 프로그래밍을 위해 많은 수의 유용한 클래스(Java API)를 기본적으로 제공하고 있으며, 기본적으로 JDK에서 만들어 놓은 클래스들을 이용하면 편리하게 프로그램을 구현할 수 있다.
3️⃣ 객체와 인스턴스
클래스로부터 객체를 만드는 과정을 클래스의 인스턴스화(instantiate)라고 하며, 어떤 클래스로부터 만들어진 객체를 그 클래스의 인스턴스(instance)라고 함.

예를 들면, 자전거 클래스로부터 만들어진 객체를 자전거 클래스의 인스턴스라고 한다. 결국 인스턴스는 객체와 같은 의미지만 객체는 모든 인스턴스를 대표하는 포괄적인 의미를 갖고 있다. 인스턴스는 어떤 클래스로부터 만들어진 것인지를 강조하는 보다 구체적인 의미이다.
그리하여 '책상은 인스턴스다.'라고 하기보다는 '책상은 객체다.'라고 하는 쪽이,
'책상은 책상 클래스의 객체이다.'라고 하기보다는 '책상은 책상 클래스의 인스턴스이다.'라고 하는 것이 더 자연스럽다.
엄격하게 두 단어를 구분할 필요는 없지만, 위에서의 예시처럼 문맥에 따라 구별하면 더 좋다.
참고자료 -
자바의 정석 3판
자바를 부탁해
https://cloudstudying.kr/lectures/195
image -
https://www.flaticon.com/kr/free-icon/camping_3154086?term=%EC%82%AC%EB%AC%BC&page=1&position=12&origin=search&related_id=3154086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 가변배열 (0) | 2023.03.30 |
---|---|
[Java] 2차원 배열 (0) | 2023.03.28 |
[Java] JVM 메모리 구조 (0) | 2022.12.29 |
[Java] String배열 (0) | 2022.12.27 |
[Java] 배열과 배열의 복사 (0) | 2022.1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