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84 cs 정리 & 코테 준비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4. 4. 23. 트랜지스터의 원리, 기능 🔴 트랜지스터의 구조 트랜지스터는 다이오드를 양쪽으로 붙인 것과 비슷하다고 생각하면 된다. 🔴p형 반도체와 n형 반도체 일단 p형 반도체와 n형 반도체가 무엇인지 알아보자. 반도체들은 불순물을 조금만 첨가해도 전기적 성질이 달라지고 이 성질을 많이 써먹는다. p형, n형 반도체가 그런 예인데 순수한 14족 실리콘 같은 원소에 13족이나 15족 원소들을 분순물로써 첨가하는 것이다. p형 반도체 순수한 14족 원소들만 있는 반도체는 자기네들끼리 적당히 전자를 공유하며 상당히 빈틈업슨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런데 여기 불순물로 13족 원소가 하나 끼어들어가게 되면 전자가 하나 모자라 비어있는 상태가 된다. 이 비어있는 것을 '정공'이라고 하는데 다이오드나 트랜지스터에서는 정공의 이동을 마치 +입.. 2024. 4. 19. 컬렉션 프레임워크 (collection framework) 다수의 데이터를 쉽고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표준화된 방법을 제공하는 클래스의 집합 즉, 데이터를 저장하는 구조와 데이터를 처리하는 알고리즘을 구조화하여 클래스로 구현해 놓은 것 이러한 컬렉션 프레임워크는 자바의 인터페이스(interface)를 사용하여 구현된다. 🔴 컬렉션 프레임워크 주요 인터페이스 1) List 인터페이스 2) Set 인터페이스 3) Map 인터페이스 List와 Set 인터페이스는 모두 Collection 인터페이스를 상속받지만, 구조상의 차이로 인해 Map 인터페이스는 별도로 정의된다. List 인터페이스와 Set 인터페이스의 공통된 부분을 Collection 인터페이스에서 정의하고 있음. 🔴주요 인터페이스 간의 상속관계 자바에서 컬렉션 프레임워크를 구성하고 있는 인터페이스 간의.. 2024. 3. 12. 자바 직렬화 🔴자바 직렬화란 무엇인가? 1) 자바 직렬화란 자바 시스템 내부에서 사용되는 객체 또는 데이터를 외부 자바시스템에도 사용할 수 있도록 바이트(byte) 형태로 데이터 변환하는 기술과 바이트로 변환된 데이터를 다시 객체로 변환하는 기술(역직렬화)을 아울러서 이야기한다. 2) 시스템적으로 이야기하면 JVM(Java Virtual Machine 이하 JVM)의 메모리에 상주(힙 또는 스택)되어 있는 객체 데이터를 바이트 형태로 변환하는 기술과 직렬화된 바이트 형태의 데이터를 객체로 변환해서 JVM으로 상주시키는 형태를 같이 이야기한다. -> 직렬화, 역직렬화 예제는 참고자료를 확인하자. 🔴 자바 직렬화 조건 자바 기본(primitive) 타입과 java.io.Serializble 인터페이스를 상속받은 객체는 .. 2024. 3. 11. 이전 1 2 3 4 ··· 21 다음